영화 ‘허스토리’는 2018년 개봉 당시 한국 사회에 잔잔하면서도 강한 울림을 남긴 작품입니다. 1990년대 실존했던 ‘관부 재판’을 소재로 한 이 영화는 일제강점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이 가해국 일본 정부를 상대로 벌인 실제 재판 과정을 다룹니다. 여성들의 고통을 피해의 기록이 아닌 ‘존엄을 위한 투쟁’으로 그려내며, 가슴 뭉클한 감동과 묵직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작품소개
민규동 감독이 연출을 맡고, 김희애, 김해숙, 예수정, 문숙, 이용녀, 이다윗 등 연기력으로 정평 난 배우들이 총출동해 시대의 아픔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특히 김희애는 부산 사업가이자 정의감에 불타는 여성 인권 운동가 문정숙 역을 맡아, 기존의 이미지와 다른 결연한 캐릭터로 변신하며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영화는 피해자의 비극을 넘어 ‘증언의 용기’, ‘기억의 책임’, 그리고 ‘정의의 지속성’을 말합니다.
배경
‘허스토리’는 1992년부터 1998년까지 부산과 일본 시모노세키 법원을 오가며 치러진 실제 재판인 ‘관부 재판’을 기반으로 구성됩니다. 일본군 ‘위안부’ 생존자들이 일본 법정에 피해 사실을 직접 증언한 이 역사적인 소송은, 피해자 중심의 정의를 구현한 대표적 국제 인권 사례로 평가받습니다. 영화는 이 재판 과정과 준비 과정을 중심으로 피해자들의 삶, 기억, 상처, 그리고 투쟁을 섬세하게 다루며, 영화 속 법정은 단순한 공간이 아니라 정의를 위한 전장으로 그려집니다. 1990년대 한국과 일본의 정치·사회적 분위기도 충실하게 반영되어 몰입감을 더합니다.
스토리
부산의 관광업체 사장 문정숙(김희애)은 우연히 위안부 피해자인 배정길(김해숙)과 그녀의 동료들을 알게 됩니다. 여성 인권 문제에 강한 관심을 가지고 있던 문정숙은, 이들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직접 재판을 벌이려 한다는 사실을 알고 도움을 자청합니다. 그녀는 재판을 준비할 수 있도록 자금을 대고, 변호사를 섭외하며, 피해자들의 일본행을 함께 준비합니다. 재판이 열리는 시모노세키 법원까지 직접 따라가며 그들의 증언을 옆에서 지켜보는 가운데, 그녀는 비로소 자신이 지켜야 할 것이 단순한 ‘과거의 피해’가 아니라 ‘지금 이 순간 살아 숨 쉬는 존엄’임을 깨닫습니다. 하지만 일본 사회와 법정의 차가운 반응, 가족과 주변 사람들의 곱지 않은 시선, 피고 측의 방해는 피해자와 그들을 돕는 이들을 점점 더 힘들게 만듭니다. 그러나 그녀들은 결코 물러서지 않고, ‘우리의 이야기를 역사에 남기자’는 각오로 재판을 이어갑니다.
후기
‘허스토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단지 고통받은 여성들로 소비하지 않고, 정의를 향해 직접 걸어간 ‘투사’로 그려낸 점에서 깊은 의미를 가집니다. 김해숙, 예수정, 이용녀 등 원로 배우들은 가슴을 울리는 증언 연기로 관객을 압도하며, 법정 장면에서는 실제 기록에서 발췌한 대사를 사용해 더욱 사실적이고 진정성 있게 다가옵니다. 영화가 지닌 미덕은 분노를 자극하기보다는, 우리가 잊고 있던 이야기들을 조용히 꺼내 감동으로 새긴다는 점입니다. 여성의 목소리가 어떻게 역사를 바꾸는지, 그 '이야기'가 왜 '역사'가 되어야 하는지를 일깨워주는 영화입니다.
‘허스토리’는 단순한 피해의 재현이 아니라, 기억의 책임을 다하는 진짜 정의를 말하는 작품입니다. 우리는 이들의 증언을 통해 단지 과거의 역사를 아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우리가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지도 배우게 됩니다. 여성의 역사, 시민의 역사, 그리고 우리 모두의 역사인 이 이야기는, 오래도록 기억되어야 할 가치가 있는 영화입니다.